증권사별 CMA 금리비교& CMA유형별 장단점 (BR,MMF,MMW형)
CMA란?
증권사에서 발행하는 입출금 통장으로 이자를 받는 파킹통장과 유사합니다.
CMA에서 유래된 상품이 파킹통장입니다.
증권사에서 국채,발행어음 등에 투자하고, 투자자에게는 고정/변동 이자를 제공합니다.
원근 보장이 되지는 않지만 안정성 높은 곳에 투자하기 때문에 원금 손실이 거의 없는 편입니다.
개인이 예치한 자산을 증권사가 어디에 투자해서 수익을 내느냐에 따라 종류는 다섯가지로 나뉩니다.
발행어음 CMA, RP형, MMF형,MMW형,종금형이 대표적입니다.
CMA유형별 정리
CMA는 운영대상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뉘게 됩니다.
1)RF형
- 증권사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고객에게 담보로 제공하고, 고객이 예치한 금액을 RF(RE-Purchase Agreement) 시장에서 투자하는 유형입니다. RF 시장은 단기금융시장으로, 채권을 매도하면서 동시에 일정 기간 후에 다시 매수할 것이라는 약정을 체결하는 시장입니다. RF형 CMA는 수익률이 높고, 채권의 수량부족으로 CMA RP 자동매수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 예탁금 이용료를 지급받게 됩니다.
2)MMF형
- 증권사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MMF(Money Market Fund)상품에 투자하는 유형입니다.
MMF는 단기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국공채, 양도성예금증서, 기업어음 등의 상품에 투자하는 펀드로, 수익률이 높고,
투자한 금액을 즉시 인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고, 펀드의 운용 실적에 따라 수익률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3)MMW형
- MMW는 Money Market Wrap의 약자로, 한국증권금융의 예수금고 ㅏ콜자금 등에 투자해 투자 일임 방식으로 운영되는
실적 배당형 상품입니다. 이자와 세금을 매일 정산해 재투자하기 때문에 복리의 투자 효과를 누릴수 있습니다.
4)발행어음형
- 증권사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발행어음 상품에 투자하는 유형입니다.
발행어음은 증권사가 고객에게 발행하는 어음으로, 수익률이 높고 예금자 보호가 됩니다.
하지만, 중도해지 시 수수료가 발생하고 , 투자한 금액을 즉시 인출할수 없습니다.
CMA 유형별 장단점
1)RF형 : 안전한 A등급 이상 투자해 가장 대중적임, 원금보장과 예금자 보호가 안됨
2)MMF형 : 안전성이 가장 높은 실적배당형, 원금보장과 예금자 보호가 안됨
3)MMW형 : 증권사에게 일임하여 매일정산하고, 복리효과를 누릴수 있음, 원금보장과 예금자 보호가 안됨
4)발행어음형 : 증권사에서 직접 잘행해 가장 수익률이 좋음, 원금보장과 예금자 보호가 안됨
5)종금형CMA : 예금자 보호가 되지만 수익률이 낮음
1)발행어음형 연 약정수익률
2) RP형 연 약정수익률
3) 종금형 연 약정수익률
잘 이용하면 좋은 CMA통장
종류별로 비교해서 가입 해보시면 좋겠습니다